"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영자신문, 뉴욕타임즈, 신문 읽는 사람들13기, 신사13기 ;4주차 기사읽기 ; 나는 칸 아카데미를 시작했습니다.우리는 여전히 교육의 비극적 결말을 피할수 있습니다

영자신문, 뉴욕타임즈, 신문 읽는 사람들13기, 신사13기 ;4주차 기사읽기 ; 나는 칸 아카데미를 시작했습니다.우리는 여전히 교육의 비극적 결말을 피할수 있습니다

2020. 8. 15. 09:02성취(accomplishment)/코리아중앙데일리 신사13기(KJD-NYT)

뉴욕타임스 오피니언 섹션을 둘러보던 중에 8월 13일 자에

칸 아카데미의 창립자 '살 칸'이 쓴 글을 보게 되어 선택해보았다.

오래전에 단순히 조카를 돕기 위해 온라인 수업을 시작했다가 

회사를 설립, 많은 사람들보다 앞서 시작했던 온라인 수업에 장점과

단점, 그리고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로 함께 공유해보고 싶다.

그가 강조하고 싶은 점은 직접 수업의 경험이 온라인 원격수업을 완벽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개선의 여지는 있다는 것이다. 결국 순전히 원격학습은 

차선의 방법이다. 적절한 부모나 교육자들의 지원과 도구를 갖추지 않게 

된다면 대실패로 끝날수 있을 것이다.

 

*실제 학급을 위해 고안된 교습 계획안은 효과가 없다는 것을 깨달음

(너무 시간이 길고 쌍방향 수업이 아니라 주의를 끌지 못한다)

*원격학습의 최대 문제는 사회적, 정서적 경험의 면에서 부족하다

(매주 주요 2~3과목을 30~45분 정도 생방송 동영상 수업시간을 갖는다.

이 시간이 방송 강의가 되어서는 안 된다, 대화를 이끄는 시간, 콜드 콜링을 

활용하라-느닷없이 어느 학생을 지목해서 질문, 휴식시간-토론하고 

서로 도울 수 있게 한다)

*인터넷에는 이미 모든 과목의 교육 동영상이 존재한다. 이미 존재하는 

유사한 교육 동영상을 녹화하느라 시간을 보낼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아이들과 상호작용을 위한 교감을 만들 수 있을지 집중하고 연구하라.

*아이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선생님은 에너지를 얻게 될 것이다.

*이 모든 것은 모든 아이들이 기기와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하에 

있다는 가정에서이다.

 

상호보완적인 수업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회적 , 정서적인 면을 신경 써야 한다.

 

"나는 칸 아카데미를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여전히 교육의

대실패를 피할 수 있습니다"

가상 학교는 결코 완벽한 대체가 될 수 없을 것이지만 그러나, 많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

 

우리나라의 많은 아이들이 올해나 아마도 그 이상을 집에서 학교를 출석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 분명해지고 있다. 만약 교육자들과 가족들이 올바른 지원과

도구들로 갖추게 되지 않는다면, 이것은 교육 위기에서 교육 대참사로 변하게

될 것이다.

 

무료 온라인 학습, 동영상과 소프트웨어를 46개의 언어로 1억 명이 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자선기금 비영리 단체인 칸 아카데미의 설립자로서,

나는 온라인 학습에서 다소 전형적인 인물이다. 내가 보스턴에 있는 헤지펀드

회사에서 분석가로 일하고 있을 때인 , 16년 전에 모든 것이 시작되었고 , 나의

결혼식에 참석하러 온 그 당시 12살이던 나의 사촌 나디아가 수학에 

힘들어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 사촌은 뉴 올리언스에 살고 있어서,

나는 매일 그녀에게 원격수업을 제공했다. 몇 달 만에 그녀가 학급을 따라잡을 수

있게 도와주었다. 나의 가족들 사이에 소문이 곧 퍼져서 2006년까지 나는

나의 한정된 여유시간에 가족 친구들과 사촌들 15명과 수업을 하고 있었다.

나는 수학 연습 소프트웨어와 동영상을 개발해서 더 도움이 되기로  결정했다.

내가 알기 전에, 나의 친척이 아닌 사람들이 그 자료들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현재로 돌아와서 이 가족 프로젝트는 우리 가족의 미션이 되었다:

어느 곳이든, 누구든지에게 무료의 세계 일류의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에도 불구하고, 나는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원격학습은 위대한 직접 수업의

경험을 대체할 수 없다고 말하는 첫 번째 사람이 될 것이다. 순전히 원격학습은

차선의 방법이지만, 코로나 유행병으로 필요에 의해 우리는 원격학습을 해야만 한다.

나는 지난 여러 달 동안 선생님들과 작업을 해왔고 우리 모두는 실제 학급을

위해 고안된 교습 계획안이 이 코로나바이러스 세계에서는 효과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온라인 학습은 학교가 제공해야 하는 사회 정서적 경험에 면에 있어서 부족하다.

기억해야 할 것은 우리 대부분이 우리의 깊은 우정을 발달시켰고 영감을 받거나 ,

놀라운 선생님들에 의해 동기부여를 받고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는 것을 배웠던 곳이

학교라는 점이다. 한 아이의 인생의 모든 면이 코로나 기간 동안 더 멀리 떨어지게

되면서, 인간의 관계를 강조하는 원격 수업에 대한 더욱더 높은 부담이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수업들은 또한 너무 길고 동영상 회의에 아이들의 집중을

끌기에는 충분히 상호적이지 않다. 전통적인 종이에 기반을 한

숙제는 학생들에게 충분한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거나 선생님에게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는지를 이해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래서, 아니다. 가상 학교는 절대 직접 학교를 위한 완벽한 대체가 되지

않을 것이지만 , 우리는 훨씬 더 나아질 수 있다.

 

 

아이들이 학업과 사회 정서적인 면에서 계속해서 진전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 교육자들이 선생님이 이끄는 생방송 동영상 회의 시간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학업의 범위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기준선은 매주 각각의

핵심 학업 과목에 2개나 3개의 30분에서 45분 정도의 시간이 될 것이다. 특히 실제

강의에서 조차도 주의를 끌지 않는데 줌 원격 학습에서는 훨씬 덜 주의를 끌 , 이

시간들이 방송 강의가 되어서는 안 된다. 이 시간들은 학생들 사이에서 그리고 학생들과

선생님들 사이에 대화를 이끌 필요가 있다. 선생님들은 학생들이 정신을 바짝 차리고

있고 그들을 화면 밖으로 끌어내기 위해서 갑자기 무작정 아무나 부르기 , 콜드 콜링을

해야 한다. 선생님들은 계속해서 학생들이 함께 질문을 풀고 그들의 생각을 공유하도록

물어볼 필요가 있다. 이상적으로, 가상 수업의 휴식시간은 학생들이 토론을 하고 서로를

도울 수 있게 할 것이다.

 

 

지난봄에 나는 많은 선생님들이 효과적으로 이러한 기준과 함께 일을 해온 것을

본 것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려고 한다. 선생님이 한 가지 방법 이상으로

풀릴 수 있는 힘든 문제를 한 6학년 수학 줌 수업시간에 제공했다고 상상해보자.

선생님은 문제를 보여주는 것에 2~3분을 쓰고 나서 학생들에게 다음 10분 동안

그 문제를 풀라고 말한다. 10분 후에, 그 선생님은 동영상 회의 대화방 또는 폴링 기능에

그들의 답을 제출하라고 말한다. 그 응답에 기초하여, 10분간 선생님은 30명의

학생들을  6명씩 5조의 가상 학생 그룹으로 분류한다. 각각의 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과 해답들을 조화시키라고 요구될 것이다. 이것은 학생들이 사회적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하고 효과적인 또래 학습을 하게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30명의 학생들 모두 각각의 그룹이 배운 것을 보고하기 위해서 불려지게 될 것이다.

 

나는 또한 선생님들이 학생들로 하여금 충분한 연습과 줌 수업시간에 모두

생길 수 없는 콘텐츠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고품질의 비동시적인 온라인

도구들을 사용하는 것을 보았다. 이러한 온라인 자료들로, 학생들은 그들의

시간과 속도에 맞추어, 연습시간을 받는다. 이상적으로는 과목당 하루에 30~45분이다

.(수학, 읽기와 쓰기에  우선적으로 주어진다.) 선생님은 실시간으로 누가

참여했는지 발전하고 있는지 그리고 누가 도움이 필요한지를 보고받는다. 개인에

맞추어진 연습을 통해서, 각각의 학생은 그들이 아마도 채울 필요가 있는 차이에 집중하여

그들에게 가장 적절한 기능에 공부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부모님들 또한 학생들이

잘 따라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자료에 접근해야 한다.

 

나는 몇몇 선생님들이 그들의 강의를 유튜브 동영상 형태에 복사를 떠서

되풀이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매우 시간을 소비하게 되고 그들을 고갈시킨다.

이렇게 할 필요는 없다. 결국 거의 모든 과목의 동영상 수업은 이미 인터넷상에 존재한다.

선생님들의 시간은 귀중하고 대신에 자주 학생들과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 선생님들은 이미 존재하는 자료와 유사한 온라인

자료들을 다시 만들려는 노력 그 이상으로, 어떻게 하면 학생들과 더욱 상호작용의

연결점을 만들지에 대해서 집중할 수 있는 자유가 주어져야 한다. 이것은 단지

학생들에게만 더 좋은 것이 아니다. 선생님들 또한 칸 아카데미 형태의 동영상을

만드려고 집에서 녹화하느라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 그들의 학생들과 함께 상호작용

함으로써 더 많은 에너지를 얻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원격학습은 학생들이 자신의 공부를 스스로 하는지 확실히 하는 것이

훨씬 더 힘들다. 학생들이 그들이 모르는 지식에 점수를 얻거나 또는 그 반대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공부인지를 증명하기 위한 간단한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시험을 보는 동안에 그들 스스로

생각한 것을 크게 말하여 녹음한 것을 제출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말한 모든 것은 학생들이 기기, 인터넷에 접근하고  그들의 학교나 가족들이

그들을 지원할 자료들을 가지고 있다는 추측 하에 말한 것이다. 그러나 물론 너무

많은 학생들이 적절한 접근 방법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깊이 걱정되는 사실이 있다.

 

우리는 또한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그리고 더 많은 무료의, 비 상업적인 디지털

도구들이 필요하다.

 

영어 표현- catastrophe 재앙, 대실패, 비극적 결말 /virtual school 가상 학교 /

replacement 대체 / in-person learning 실제로 하는 수업 (직접 학습) /

there is a lot of room for improvement 개선의 여지가 많다. /aren't

empowered with ~을 할 수 있게 되다. /evolve 진화하다, 변하다 /online

exercises 온라인 학습 / philantropically funded nonprofit 자선기금 

비영리 단체 / a poster child 전형적인 인물, 모델 /distance tutoring 원격수업

/fast-forward to today 오늘날로 돌아와서 /suboptimal 차선의 /out of

necessity 필요에 의해 / are falling short ~에 부족하다, 미치지 못한다 /in

terms of ~에 있어/ human connection 인간의 관계 /engage 주의를 끌다 /

cold calling 무작정 아무나 부르기 / on thier toes 정신을 바짝 차리다 /

reconcile 조화시키다, 조정하다 / asynchronous 비동시적인 /personalized

개인에게 맞추어진 /depleted 고갈시켰다

 

 

*코리아 중앙데일리로부터 구독권을 제공받아 쓴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