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영자신문, English newspaper, 코리아 중앙데일리, korea joongangdaily, 신문읽는 사람들13기 ,the fifth week 5주차 기사 읽기 : 🍱 Food delivery 음식 배달 전성시대

영자신문, English newspaper, 코리아 중앙데일리, korea joongangdaily, 신문읽는 사람들13기 ,the fifth week 5주차 기사 읽기 : 🍱 Food delivery 음식 배달 전성시대

2020. 8. 21. 16:27성취(accomplishment)/코리아중앙데일리 신사13기(KJD-NYT)

오늘 고른 기사는 코리아 중앙 데일리 8월 21일 자 [ shortcut] 섹션에서 선택하였다.

바쁘고 시간없는 사람들이 말 그대로 쇼트컷 ,지름길을

통해서 시사와 영어를 동시에 접할 수 있는 코너라 생각한다.

나와 같이 육아로 시간이 빠듯한 사람들에게는 안성맞춤이다.

이미 한국어로 해석이 되어있어 중요한 부분을 요약하는

형태로 리뷰해볼 예정이다.

지금 어떻게 트렌드가 바뀌어 가고 있는지 알아보자.

Today i chose an article from [shortcut] scetion

from korea joongang daily.

shortcut, as it said, we can read the article more

easily because there are english and korean together.

You can see new trend , and learn english at the same time.

espectially, like housewives who have always so many

chores and no time, it will be perfect for you.

i just summarize important parts and lets see how

it changed our lifestyle.

 

Food delivery  음식 배달 전성시대🍱

 

배달음식 하면 떠오르는 것이 치킨, 피자, 짜장면 정도였다.

그런데 삼겹살과 아이스크림까지 배달 주문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고급 레스토랑과 호텔도 배달 음식을 시작했다.

10년 전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더 많은 혜택으로 배달시장이 확대되었고 

코로나 19 이후 감염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외출을 꺼리면서, 배달의

인기는 더욱 증가했다.

when i think about the delivery food, i only associate with chicken,

pizza and jjajangmyeon(black noodle).

but it is possilbe to order pok belly and icecream. I was surprised.🙀

also, fine dining restarants and hotel also started to deliver their food.

After we started using cellphones around 10 yrs ago, the delivery market 

is getting bigger and has more promotions. Now days , due to the covid-19,

people refrain from going outside to dine out. Its popularity increased.

그리고 많은 회사들이 배달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카카오와 쿠팡 또한 이들 중 하나이다.

and many companies jump into this market.

kakao and cupang are one of those companies.

 

한국이 아시아에서 중국과 함께 가장 큰 배달시장이다.

대도시와 아파트에 밀집해서 사는 점,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이는

한국인의 특징이 배달시장을 발전시킨 이유다.

In the delivery market, korea is the biggest market along wih china in asia.

most of the people live in the city and apartments.

also koreans are very fast to accept a new technology.

 

*코리아 중앙데일리로부터 구독권을 제공받아 쓴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