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한국 코로나 백신 개발 중앙일보 영자신문으로 읽기

한국 코로나 백신 개발 중앙일보 영자신문으로 읽기

2020. 10. 11. 23:25성취(accomplishment)/영자신문 읽기(English newspapers review)

 

한국은 코로나 19 치료제를 찾기 위한 세계 경주에서 어디쯤 위치해 있는 것일까요?

Where does korea stand in global race in search of corona-19?

 

본문에 따르면 백신 개발 과정에는 어떻게 될지 모르는 변수가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백신이나 치료제 모두 성공을 장담하기는 힘듭니다. 그러나 진단키트로 한국은 생산능력을 가졌고 최악의 상황에 한국 회사들이 sk 바이오사이언스와 삼성 바이올 로직스와 같이 계약 제조를 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According to this article, it is possible to happen some unexpected results during the process of vaccine development , so it's difficult to predict. But with diagonostic kits, korea could have procuction capacity, in the worst scenario, they could get opportunities in contract manufacturing like sk bioscience and samsung biologics.

 

 

적어도 2020년까지 한국은 의료 수출에 있어서 세계적인 주요 참가국이 전혀 아니었습니다. 2월에, 한국은 심각한 코로나 19 발생을 대처한 첫 번째 나라들 중 한 곳이었습니다. 코로나가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한국의 가장 효과적인 몇몇의 방법들이 마스크, 손소독제와 진단용 키트와 같이 전 세계적인 관심을 얻었습니다. 

 

갑자기, 세계 의료 시장에서 한국이 보호장비와 바이러스 억제조치에 있어 중요하지 않은 나라에서 전문가가 되었습니다. 수출이 그에 따라서 증가했는데요. 손소독제가 2020년 첫 상반기 동안 전년대비 67배가 증가한 반면, 진단용 키트의 운송이 같은 기간 동안 507 퍼센트 증가했습니다. 초기의 성공으로 자신감을 얻으면서, 한국 정부는 다음의 큰 목표를 코로나 19에 세계적으로 맞서 싸우는 것에 맞추었습니다. 바로 약입니다.

 

"우리의 목표는 올해까지 코로나 19의 치료제를  2021년까지 백신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한국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이 9월 15일 본부의 시작을 축하하는 개회사에서 말했습니다. 그러나 특히 연구개발 프로젝트가 언제든지 잘못될 수 있는 생물 약제학의 분야에서 정부의 약속이 항상 실현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면 정확히 한국은 코로나 19 치료제를 찾기 위한 세계 경주에서 어디쯤 위치해 있는 것일까요? 그리고 그 갑작스러운 추진이 나라의 생물 약제학 산업에 기본적인 변화를 야기시킬까요?

 

 

향상된 자신감 

 

한국의 의료수출 돌파구가 진단용 키트로부터 왔습니다. 3월까지 서울은 다른 나라의 정부로부터 진단용 키트 수출을 요청하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정부 발표자료는 진단용 키트 수출의 가치가 지난달과 비교해서 4월에 8배가 증가하며 절정에 올랐습니다. 그 자신감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생물약제학과 의료장비의 주식이 크게 향상되면서 분명해졌습니다. 많은 분석가들은 이 생물 시장에 존재하는 호황의 거품을 걱정했습니다.  아마도 단기간의 관점에서 본다면 사실 일지도 모르지만, 수출과 연구개발 수치가 한국의 바이오산업이 여러 해에 걸쳐서 근본적인 성장을 가까스로 성취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최근 트렌드가 2015년의 바이오산업 붐에 유사한 패턴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다른 것은 국내 헬스케어 회사들의 오늘날 국제적 위상이 훨씬 더 강합니다. 그러나 한국이 바이오 생산기술에서 상당한 진척을 만들었음에도 처음부터 새로운 약을 개발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수준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코로나 19 백신을 찾아서 

 

치료제와 백신 개발의 진척은 임상시험 단계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습니다. 백신과 치료제 둘 다 코로나 19에 싸우기 위해서는 중요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매우 다른 일을 합니다. 백신이 몸의 면역시스템이 질병에 싸우도록 준비하는 반면, 치료제는 환자들이 이미 아플 때 그들의 증상을 덜기 위해서 그리고 그들이 회복되는 것을 도우며 사용됩니다.  백신은 방지 조치인 반면, 치료제는 누군가가 이미 아플때 돕는 것입니다. 

 

한동안, 테스트되고 있는 많은 약들이 이전에 다른 질병을 위해 승인된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치료제가 아마도 백신보다 더 빨리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전략은 약물 재창출이라고 불립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치료제의 안전이 이미 어느 정도는 증명이 되었고 이러한 약들은 종종 단계 1 임상시험을 건너뛰는 것이 허락됩니다. 9개의 한국 회사들이 현재 재창출 약을 개발 중입니다.

 

약 개발은 백신이던 치료제던지 간에 한 후보가 시장에서 출시할 권한을 고려하기 전에 보통 동물실험과 인간 환자에 3단계의 임상시험의 단계를 거칩니다. 9월 중순 이후로 11개의 치료 후보군들을 승인했습니다. 그들 중에 gc 제약의 gc5131 rhk , 셀트리온의 ct-p59가 새로운 물질들이고 가장 주목을 받는 후보들입니다. 이 두 회사들은 올해 초 코로나 19 치료제를 위한 과정에서 정부 파트너로서 발표되었습니다. 

 

 

이 두 후보 약들은 시장 허가에 앞서서 이번 달에 다량생산을 시작할 것입니다. 한동안은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gilead sciences의 remdesivir 가 한국에서 3상을 마친 유일한 코로나 19 치료제입니다. 백신으로는 두 개의 후보가 한국에서 테스트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바이오 스타드 업 회사인 inovio의 ino-4800과 한국 회사 genexine의 gx-19이 있습니다. 둘 다 1단계 임상시험을 진행 중입니다. 

 

 

 

국제적 경쟁

 

절차의 발전에 있어서는 한국 회사들이 코로나 19에서 다른 경쟁 나라들보다 뒤에 처져있습니다. 미국의 제약회사인 regeneron과 eli lily가 코로나 치료제에 선두주자이고 둘 다 3상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특히 regeneron이 이번 달 말에 테스트 자료를 공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백신분야에서는 영국의 바이오 회사인 astrazeneca와 미국에 본사가 있는 moderna 그리고 pfizer가 3상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이런 코로나 19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부 우는 다국적 회사들과 비교해서, 한국 회사들은 자원과 경험이 부족합니다. 

 

"진단용 키트로, 국내 회사들은 개발과 수출에 있어서  이미 생산 능력과 경험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치료제 또는 백신 경우는 아닙니다."

 

"현 단계에서 한국에서 치료제나 백신이 성공으로 바뀔 가능성을 집어내기는 힘듭니다. 이 일은 실패가 매우 높은 부분입니다. 그러나 성공의 불확실성이 단지 한국 회사들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백신은 보통 개발하는데 10년 이상이 걸립니다. 전통적이지 않은 행동으로 전 세계 정부들이 빠른 속도로 승인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과정을 아무리 속도를 내더라도, 임상 시험이 잘못될 수 있습니다. 매우 많은 돈을 가진 국제적 나라일지라도. 

 

9월 9일에 astrazeneca가 그 시험들 중 하나에서 발생했던 잠재적으로 예상치 못한 질병을 조사하기 위해서 3상 임상시험을 중단했습니다. 지금까지는 영국 회사가 코로나 백신을 출시하는데 가장 가깝다고 생각됩니다. 바로 그다음 날, astrazeneca와 8개의 다른 다국적 제약회사들이 안전과 효능의 희생을 치르면서 백신 개발에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고 공동 성명을 발표했는데요.

 

"시장에서 이 사고가 아주 커다란 충격을 준 이유는 아주 많은 사람들이 세계적인 유행병의 응급상 황하에 실패의 가능성을 간과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조급함을 떨쳐내고 코로나 백신을 올해 기대하는 것처럼 과도한 기대를 떨쳐낼 때입니다."

 

성공이 문을 열 것입니다.

 

전문가들이 말하기를 가까운 미래에 백신이 개발되더라도 생산 시설이 세계적 수요에 맞추기 위해서는 불충분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백신을 맞게 되는 시간이 올 때까지 치료제가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필요될 것입니다. "공급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구매력이 있는 나라들은 이미 다른 나라들에 앞서 확보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이 한국 국민들에게 가능할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국내 회사들이 이 기술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은 제약 공급에서 국민의 건강과 자주권의 문제입니다." 몇몇 분석가들은 한국이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는 데 성공할 수 있을지에 회의적입니다. 심지어 최악의 상황에서 한국의 생산 능력이 계약 제조하는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Sk 바이오사이언스가 예로 astrazenca와 또 다른 미국 생물 약제학 회사인 novavax와 허가 후에 코로나 19의 항체 치료제를 만드는 생산 계약을 맺었습니다. 삼성 바이올 로직스 또한 영국의 거대 제약회사인 glaxosmithkline의 코로나 치료제를 생산하는 대량생산 계약을 마무리했습니다. 

 

"우선, 코로나 19 백신은 한 번의 수익원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제 그 백신들이 독감처럼 꾸준한 수익원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영어 표현 기억하세요

A major global player 세계적인 주요 참가자 (반대 표현 minor player 중요하지 않은 참가자)  /garnered global interest 국제적 관심을 얻었다 / testing kits 진단용 키트  (=diagnostic kit exportson year ) / on year 전년대비 /during the same period 같은 기간 동안 / set its sight 조준을, 목표를 맞추다 / fight against ~와 맞서다, 싸우다 / treatment 치료제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commissioner 본부장 / Bophamaceuticals 생물 약제학의 / breakthrough 돌파구 / government figures 정부 발표자료 /hit a peak 절정에 오르다 / global presence 국제적 위상 /stages of clinical trials 임상시험 단계 /initiative 계획 /production capacity 생산능력 /efficacy 약의 효능 /stir 충격 / impatience 조급함, 안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