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Adele’s pick, the korea times : waging war over ‘big data’ dominance

Adele’s pick, the korea times : waging war over ‘big data’ dominance

2020. 6. 13. 17:19성취(accomplishment)/영자신문 읽기(English newspapers review)

financial companies in korea waging war over ‘big data’ dominance

from the korea times, june 13,2020 by park ji-won

 

as the post-pandemic economy moves faster towards full-on

digitalization, major financial groups in korea are mired in a

silent war over dominance in the financial data business.

 

it is obvious that the global pandemic has accelerated the

financial sector's digital initiatives as social distancing and

contactless trends have become the new norm. yet the nation's

financial industry had long been bracing itself for the

development of the data sector even before the impact of covid-19.

 

my data business plan

back in summer of 2018,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s plan to foster and expand the country's data industry by

2022. one key state-led pilot program, called the 'my plan'

project, allowed people to have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the public's strengthened control over the right to compile their 

own information on web sites.

 

under the plan, financial institutions are obliged to provide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to a third party approved

by the government as a mydata business operator, which

would then provide a comprehensive set of financial information

back to the customer, whenever they decided to browse their 

own information at one easy glance on a site or on a mobile app.

 

until recently, personal financial information had been exclusively

left in the hands of each financial institute, making it almost

impossible for such data to be conveniently gathered and viewed

together.

 

according to the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 earlier this month

, 116 companies, including 55 financial firms,20 fintech firms, and

non-financial companies, expressed intent to apply for the mydata 

business,during a preliminary survey conducted from may 16 to 28 to

figure out the number of potential companies interested in the new

realms of business. the financial authority is slated to announce more 

details about the mydata project sometime in the next month.

 

data bills passing parliament

this new finance business model based on data has become possible

as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ree data bills' in early january

this year- three long-pending revisions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act -aimimg to ease regulations

on the use of big data encompassing personal information for

businesses.

 

against this backdrop, it is a natural consequence that 

each major financial group in korea focused on strategic plans 

to advance into the data market to reap the most out of it.

 

as market analysts point out, data is not something as 

depreciable as other tangible goods; rather its value increases

more and more ,when other pieces of data are added. that's 

why financial firms are hurriedly seeking to glean as much 

as they can while developing new profit models using such 

data.

 

dominating data business

even prior to the passage of the three data bills, shinhan financial

group chairman cho yong-byoung had ordered the launch of a

taskforce on new data businesses in january this  year, with the

team in full swing , digital department employees from each of

the group's affiliated firms have joined to draw up timely data

stretegies for the group.

 

in april, the group's flagship shinhan bank became the first

domestic bank to start a data sales business. the financial group

has also recently joined hands with mobile carriers such as

sk telecom and lg  uplus in business projects to mutually enhance

their capabilities in big data and ai.

 

kb financial has set 'digitalization' as the foremost goal and focus

of the group. in early april, chairman yoon jong-kyoo urged the

financial group to digitize the entire work process, way beyond just

an partial digitization of online or mobile channels. yoon also asked

employees to get  familiar with the latest capabilities.

 

hana financial group chairman kim jung-tai also asked the group

to strengthen its digital prowses, while its research center analyzed 

global banks' digital strategies.

 

the financial group has also recently set up a so-called dt university, 

an education platform both online and offline to strengthen the group's

digital capabilities.

 

woori financial group announced the key slogan, "digital for better 

life' in early may. 

 

Nonghyup financial group has also long been focused on the digitization 

of its affiliated firms. 

 

Threats from it firms

market observers say the financial groups' accelerated moves towards

digitization and data-oriented businesses is also being triggered by 

the rapid growth of major online platforms naver and kakao. The two 

internet-based firms are transforming themselves into financial powerhouses.

 

naver and kakao have about 12million and 20 million users, repectively. 

Their growth potential as financial groups is high; naver is slated to launch 

its own investment, insurance and savings products later this year, while 

kakao pay's transactional amount increased to 48.4 trilloin won in 2019,

up 140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This year's trasactional amount is

expected to exceed 75 trillion won.

 

against this backdrop, moves towars digitization and data business 

will be intensified and accelerated as traditional financial groups and 

new it powerhouses compete for dominance in the newly expanded market.

 

"it is expected that naver and kakao, korea's two most iconic online 

platform operators, will grow into leaders in mydata business. Using their 

own financial arms, naver financial and kakao pay, the two firms are 

estimated to possess a competitive edge as a comprehensive financial 

platform company," analyst kim so-hye at hanwha investment &securities 

wrote in a recent research paper.

 

Summary

the traditional financial company and major online platform company,

naver and kakao are having a silent war to posses a competitive edge

in a data business.it is possible after national aseembley passed three

long-pending bills as a result they could sell the data.

 

단어 확인

Waging war over ~에 대해 전쟁을 벌이다

dominance 지배, 우세, 우위

post-pandemic 전국적인 전염 병후의

full-on 최대의, 극도의

are mired ~에 빠지다

a silent war 조용한, 말없는 전쟁

new norm 새로운 표준

Financial industry 금융업  Finalcial institutions  금융 기관 Financial firms

=Financial group

had long been bracing 오랫동안 대비해왔다

foster 육성하다

state-led 국가가 이끄는 

Pilot program 시범, 시험 프로그램 

data portability 데이터 이동성

are obliged to ~해야 할 의무가 있다

a third party 제삼자

comprehensive 종합적인, 포괄적인 

the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 금융감독위원회

=financial authority 

expressed intent to ~의 의사, 의도를 밝히다, 표현하다

a preliminary survery 예비 조사

realm 영역, 범주

is slated to ~할 예정이다

the national assembly 국회

passed bills 법안들을 통과했다

long-pending revisions 오랫동안 미결로 남아있는 개정들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개인 정보 보호 법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정보와 통신망 법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act  신용정보 보호법

aiming to ~을 겨냥하는, 조준하는 

ease regulations 규제들을 완화하다

encompassing ~를 포함하는 , 망라하는

backdrop 배경

reap 거둬들이다, 이익을 얻다

depreciable 가치가 떨어질 수 있는 

tangible goods 유형의 상품

glean 모으다, 주워 모으다

in full swing 한창인, 절정인, 한창때인

group's affiliated firms  회사의 계열사

draw up 문서를 작성하다

flagship 주력제품, 가장 중요한 

mobile carriers 휴대폰 업계

mutually 서로, 상호 간에

digitization 디지털화, Digitize 디지털화하다   , Digital 디지털의

foremost goal 최우선의 목표

prowess 역량

an education platform 교육 플랫폼

accelerated 가속화된, 속도가 붙은 

data-oriented 데이터를 지향하는 

triggered 유발하다, 촉발하다

major online platforms 주요 온라인 플랫폼 , Internet-based firms

=iconic online platform operators 

respectively 각각 , 각자

launch 출시하다, 시작하다

transactional  amount 업무상의, 거래의 양

Trillion 조             Million 백만

exceed 능가하다

posses a competitive edge 경쟁우위를 소유하다, 보유하다

 

기사의 내용은 한국의 금융 회사들이 '빅데이터' 지배를 위해 전쟁을 

벌이고 있다는 내용이다.

 

유행 전염병(코로나 바이러스) 후의 경제가 극도의 디지털화로 향해 

빠르게 움직임에 따라서, 한국의 주요 금융 그룹들은 금융데이터 

사업에서 우위를 얻기 위해 침묵의 전쟁에 빠졌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접촉 트렌드가 새로운 표준이 됨으로써, 

세계적인 전염병은  금융기관들의 디지털 주도권을 가속화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한국의 금융산업은 심지어 코로나 

바이러스 전에도 그 데이터 부분의 발전에 오랫동안 대비해왔다.

 

마이 데이터 사업 계획

2018년 여름 때에 , 한국 정부는 2020년까지 한국의 데이터 산업을 

확장시키고 육성시키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한 가지 핵심 국가 주도 

시범 프로그램은 , 이른바 "마이 데이터" 프로젝트로써- 웹사이트상에 

그들 자신의 정보를 수집하는 권리에 대한 국가의 강화된 통제로

사람들이 "데이터 이동성"의 권리를 가지도록 허락하는 것이다.

 

그 계획 하에, 금융 기관들은 정부에 의해 "마이 데이터 사업 운영자로"

승인된 제삼자에게 고객들의 개인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

언제든지 핸드폰 앱에서나 사이트에서 한번 쉽게 그들 자신의 정보를

살펴보려 할 때면  포괄적인 일련의 금융정보를 다시 그 고객에게

제공할 것이다.

 

최근까지, 개인 금융 정보는 오로지 각각의 금융 기관에 맡겨져, 그러한 

데이터가 편리하게 모아지고 함께 보게 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다.

 

이달 초에 금융감독 위원회에 따르면, 비 금융회사들, 20개의 핀테크

회사들, 55개의 금융회사들을 포함한  116개의 회사들이 5월 16일에서

28일까지 새로운 영역의 사업에 관심 있는 잠재력 있는 회사들의

수를 알기 위해서 시행된 사전조사기간 동안에 마이 데이터 사업에

지원하려는 의도를 표현했다. 금융 감독 위원회는 조만간 다음 달에 

마이 데이터 프로젝트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다.

 

국회 데이터 법안 통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이 새로운 금융 산업 모델은 올해 1월 초에 

국회가 3가지 데이터 법안을 통과시킴으로써 가능해졌다.

-오랫동안 미결로 남아있던 3개의 개정안들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법률, 정보와 통신망에 대한 법률, 신용 정보 보호에 대한 

법률- 사업을 위해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빅 데이터 사용에 대한 

규제 완화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이 배경으로, 한국의 각각의 주요 금융 그룹들이 그것의 대부분의

이익을 얻기 위해서 데이터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전략적인 계획에

집중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시장 분석가들이 지적하는 것처럼, 데이터는 다른 유형의 상품들

처럼 가치가 떨어질 수 있는 무언가가 아닌 오히려 다른 정보들이

추가될 때 가치가 점점 더 상승한다. 그런 이유로 금융회사들은 

그런 정보를 사용하여 새로운 이익 모델들을 개발하는 동안에 

서둘러 가능한 한 많이 모으려고 모색 중이다.

 

우세한 데이터 기업 

심지어 3가지의 데이터 법안들이 통과되기 전에, 신한 금융 그룹의 

최 용병 회장은 올해 1월에 새로운 데이터 사업에 대한 대책 본부를 

시작할 것을 지시했다. 그 대책 본부가 정말 가동되는 가운데, 그 회사의 

각 계열사들의 디지털 부서 직원들은 회사를 위한 시기적절한 데이터 

전략에 대한 문서를 작성하는데 참여하고 있다.

 

4월에 , 대표회사인 신한은행은 데이터 판매 사업을 시작하는

국내 첫 번째 은행이 되었다. 그 금융 그룹은 또한 최근에 빅데이터와 

Ai 시장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그들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사업

프로젝트에서 sk 텔레콤 그리고 Lg 유플러스와 같은 통신회사들과 

손을 잡았다.

 

Kb 금융 그룹은 "디지털화"를 회사의 집중과 최우선의 목표로서 세웠다.

4월 초에, 윤 종규 회장은 회사에 전체 일 처리과정을 디지털화하고 

온라인이나 모바일 채널의 단순한 부분 디지털이 아닌 그것을 훨씬 뛰어넘는

디지털화를 하라고 촉구했다. 윤 회장은 또한 직원들에게 가장 최신의 

능력들에 익숙해지기를 요청했다.

 

하나 금융 그룹의 김정태 회장 또한 그 회사의 연구센터가 세계적인

은행들의 디지털 전략을 분석하는 동안, 회사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를 

요청했다.

 

금융회사들은 또한 최근에 회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하기 위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둘 다 가능한  교육 플랫폼인 이른바 dt 대학교를 세웠다.

 

우리 금융그룹은 "더 나은 삶을 위한 디지털"이라는 핵심 슬로건을 발표했다.

 

농협금융 그룹 또한 회사 계열사의 디지털화에 오랫동안 집중을 해왔다.

 

It 회사들로부터의 위협

시장 전문가들은 금융그룹들의 디지털화를 향한 가속화된 움직임 

그리고 네이버와 카카오 주요 온라인 플랫폼에 의해 촉발되는 

데이터 지향의 사업에 대해 말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이 

두 회사는 그들 스스로를 강력한 금융그룹으로 변형하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대략 천이백만 명 과 이천만 명의 각각의 

사용자들이 있다. 그들의 성장 가능성은  금융 그룹만큼 높다.

네이버는 자회사 내에 투자, 보험 그리고 저축 상품을 올해 하반기에 

출시할 계획인 반면, 카카오 페이의 거래량은 2019년에 48조 4천억 원

으로 전년도에 비해서 140 퍼센트 증가했다.

 

이 배경으로, 디지털화와 데이터 산업으로 향한 움직임은 전통적인

금융그룹들과 새로운 it 강국들이 새로 확장된 시장에서 우세를

놓고 경쟁하기 때문에 더욱 가속화되고 강화될 것이다.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온라인 플랫폼 운영회사들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마이 데이터 산업에서 리더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들 자신의 금융 자회사를 사용하면서 그 두 회사 들은 

포괄적인 금융 플랫폼 회사로써 경쟁력 있는 우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화 투자증권의 최근 보고서에서 분석가 김 소혜 씨가 

작성했다.

 

*본문 요약

정부가 국회에서 오랫동안 미결로 남아있던 3가지 법안을 통과시킨

면서 데이터 산업에 가속화가 시작되었다. 이제 데이터 판매가 

가능해짐으로써 전통적인 금융회사들과 더불어 주요 인터넷 

플랫폼 회사들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침묵의 전쟁을 시작했다. 그중 네이버와 카카오가 강력한 금융 플랫폼

회사로써 떠오를 것으로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