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Adele’s pick, korea joongang daily :calls for gwanghwamun gate’s sign to be changed

Adele’s pick, korea joongang daily :calls for gwanghwamun gate’s sign to be changed

2020. 6. 9. 18:16성취(accomplishment)/영자신문 읽기(English newspapers review)

Civic group calls for gwanghwamun gate’s sign 

to be changed from chinese to korean

from korea joongang daily , june 8,2020 by esther chung

 

Famous calligrapher kang byung-in and a number of experts 

on hangul, the korean alphabet, recently called for replacement 

of the characters used on the gwangwhamun gate from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to hangul.

 

"the korean language is being embraced even by foreigners

these days as there is heightened interest abroad to pick up 

korean language skills, yet the gwanghwamun gate, the 

face of korea , is still sitting in the past, failing to refelct what 

korea is today." Kang said in a press conference by himself and 

other experts on calligraphy and hangul.

 

"we are calling for the replacement of the sign of the 

gwanghwamun gate, " kang said. " that is because the gate,

we believe,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korea as a 

nation. Also, king sejong(1397-1450) created hangul at 

gyeongbok palace. So it's only right that the gate to the 

palace it written in the language that he created."

 

prior to king sejong's creation of hangul,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by koreans to read and write. Sejong created and 

promulgated hangul in 1443, in an attempt to allow all 

koreans, regardless of class, to be literate. As chinese 

characters were difficult to learn, knowing how to read and 

write had created a wide gap between nobles and commoners.

 

the civic group said they hosted the press conference with 

hopes to garner more support for their movement , with the 

intention to have the sign changed by hangul day, which 

falls on oct.9 every year in honor of the korean alphabet.

 

changing the gwanghwamun gate's sign from traditional 

chinese charaters to hangul has been on ongoing debate in 

korea for years.

 

the discussion began in december 2010, according t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authority 

on cultural heritage in korea, when they noticed a crack in 

the sign.

 

the palace management bureau of the administration 

opened up a survery in december 2011 to ask 3,000 citizens 

aged over 19 whether they would like to see the sign in 

hangul or in traditional charaters.

 

"we received the rusults that said 58.7 percent of 

respondents actually wanted to see the sign in hangul and 

41.3 percent wanted to see it in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 the department said. In its statement issued on 

may 13." But the committees within the administration 

decided to go with the traditional chinese charaters when 

remarking the sign, because it is as matter that concerns 

history and heritage."

 

this is not the first time since the gate was rebuilt by 

emperor gojong in 1865 that its sign is being renovated. The 

gate was bombed during the korean war (1950-53). it was 

rebuilt in 1968 during the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

the sign's charaters were written by park himself.

 

the sign was changed in 2010, which is the current cracked 

sign.

 

the renovated sign with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to be 

the third since korea's independence, will be installed within 

the year.

 

"when we speak of preserving cultural heritage, it means 

that we keep it as closely intact as possible to the way it was 

built in the beginning, " "and the sign for gwanghwamun gate 

when it was rebuilt in 1865 was written in traditional characters.

 

"we should not change objects of cultural heritage and 

history as we see fit according to the changing cultures and 

values of today."

 

"we understand that the administration has been working 

on this new sign for the past eight years, "han said in the 

press conference. "But this is a matter of utmost importance 

to the culture and heritage of korea. There are people who 

want the sign to be in korean. We will be opening up 

discussions on this online as well."

 

Summary

within this year, the administration will replace the sign 

of the main gate of gyeongbokgoong palace. It is difficult to 

decide to keep it as it was or hangul, korean alphabet.

if you are foregniers, what do you think is more better choice

to take? Hangul or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단어 확인

Civic group 시민단체

calls for 요구하다

gwanhwamun gate's sign 광화문의 현판

calligrapher 서예가, 달필가

hangul, the korean alphabet 한글

=korean language

replacement 교체

embraced 받아들여진, 수용된

heightened interest 높아진 관심

representation 대표

solely 오로지, 단독으로

promulgated 보급하다, 선포하다

in an attempt to ~하려는 시도로, ~하기 위해

literate 읽고 쓸 줄 아는 

Garner ~를 모으다

debate 토론, 논쟁       =Discussion 토론

falls on oct 9 날짜가 10월 9일에 해당된다

in honor of  ~에게 경의를 표하며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문화재청

crack 금, 균열

opened up a survey 조사를 개시하다

emperor gojong 고종황제

utmost 최우선, 최고

 

기사의 제목은 시민단체가 광화문의 현판을 한자에서  

한글로 교체하길을 요구한다는 내용이다.

여기에서 현판이란 글씨나 그림을 새겨 문위나 벽에 다는

널조각을 말한다.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에 걸려있는 현판을

말한다.

 

유명한 서예가 강병인과 몇 명의 한글 전문가들은 최근 

광화문에 쓰인 글씨를 한자에서 한글로 교체를 요구했다.

 

"외국에서 한글 실력을 배우기 위한 높은 관심 때문에 심지어

요즘 외국인들에 의해서도 한글이 수용되고 있는 중이지만 ,

한국의 얼굴인 광화문은 오늘날의 한국에 대해 반영하는 것에  

실패하며 여전히 과거 속에 있다. 5월 19일 시민단체와 서예가,

다른 한글 전문가들과 서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강서예가는  말했다.

 

"우리는 오로지 광화문 현판의 교체만을 요구하고 있다.

그것은 그 광화문이 한나라로써 한국을 상징하는 대표라고 

믿기 때문이다. 또한 세종대왕은 경복궁에서 한글을 창제하셨다.
그래서 경복궁의 광화문은 그가 만든 언어로 쓰였다는 것이 유일하게 

맞는 것이다."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전에는, 읽고 쓰기 위해서 한국인들에 의해 

한자가  사용되었다. 세종은 1443년에 신분계급에 상관없이 모든

한국인들이 읽고 쓰게 하는 것을 허락하기 위해서 한글을 창조,

선포했다. 한자가  배우기 어렵기 때문에 , 한자를  읽고 쓰는 것을 

아는 것은 귀족들과 평민들 사이에 큰 차이를 만들었다.

 

시민단체는 한글에 경의를 표하는 매년 10월 9일 날짜에 해당하는

한글날에 의해 그 현판을 바꾸려는 의도와 함께 그들의 운동에 더 많은

지지를 모으기 위한 바람으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고 말했다.

 

광화문의 현판을 한자에서 한글로 바꾸려는 논쟁은 몇 년 동안 

한국에서 계속되어왔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그 토론은 현판에서 균열을 발견한 2010년

12월에 시작되었다.

 

경복궁 측은 시민들에게 현판에서 한글 또는 한자를  보고 

싶은지에 대해 19세 이상의 3,000명의 시민들에게 2011년 12월에

조사를 개시했다.

 

"우리는 58.7 퍼센트의 응답가가 실제로 한글로 보기를 원하고 

41.3 퍼센트가 한자로 보기를 원한다는 결과를 받았다.

그 부서는 5월 13일에 발표된 성명문에서 말했다.

그러나 경복궁 측 위원회는 그것은 역사와 유산을 다루는 문제

이기 때문에 현판을 다시 복구할 때 한자로 결정하기로 했다.

 

1865년 고종 황제에 의해서 현판을 재정비하여 광화문을 새로 

재건했기 때문에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광화문은 한국전쟁 동안

폭격되었다. 박정희 정부 동안인 1968년에 다시 지어졌다.

현판의 글씨는 박정희 대통령 본인이 직접 썼다.

 

그 현판은 2010년에 현재 금이 간 현판으로 교체되었다.

 

한국 독립 이후 세 번째가 될 한자로 복구되는 현판은

올해 안으로 설치될 것이다.

 

"우리가 문화유산 보존을 말할 때, 그것은 초기에 지어진 방식에

가능한 더 손상되지 않게 우리가 그 상태를 지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1865년에 광화문 현판을 재건했을 때 한자로 쓰였었다."

 

"우리는 오늘날의 가치와 문화 변화에 따라서 결정하여 문화 역사

유산의 어떤 것을  바꿔서는 안 된다."

 

"우리는 지난 과거 8년 동안 이 새로운 현판에 대해서 그 관리부가

작업해온 것을 안다." "그러나 이것은 한국의 문화유산에

최우선의 중요한 문제다. 한글로 현판이 만들어지길 원하는 사람들이 

있다. 또한 온라인에 토론을 재기할 예정이다.

 

본문 요점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의 현판에 대해 한글인가& 한자로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이다. 

1. 1865년 고종황제에 의해서 재건

2. 한국전쟁 때 폭격되어 박정희 대통령 때 본인이 쓴 글씨로 재건(1968)

3. 2010년 현재 금이 간 현판으로 교체

4. 한국 독립 (1945년 이후) 세 번째가 될 이번 교체는 올해 안에 예정

*문화유산을 오늘날의 문화와 가치 변화에 따라서 

교체해서는 안 된다.

 

한글과 한자 어떤것을 선택 하시나요?

댓글로 남겨주세요~

 

오늘은 확인해야 할 단어들이 많은데 한번 뜻을 알고 익힌다.

개인적인 경험으로 며칠 지나면 다 잊어버린다.

꾸준히 새로운 단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답이다.

그런데 꾸준히 영자신문을 읽으면 그 새로운 단어들이 

분야별로 계속 반복해서 나오기 때문에 매일 본인에게 

흥미로운 기사 위주로 읽으며 배우면 된다

 

*중요한 것은 동사 확인, 그리고 어떤 단어들과 짝꿍으로 쓰이는지를 

잘 파악해 두는 것이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Thank you fo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