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Adele’s pick, korea joongang daily : become part of a joseon royal procession in digital form

Adele’s pick, korea joongang daily : become part of a joseon royal procession in digital form

2020. 6. 17. 23:43성취(accomplishment)/영자신문 읽기(English newspapers review)

become part of a joseon royal procession in digital form

from korea joongang daily, june 15, 2020 by esther chung, kang hye-ran

 

 In the year of 1795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1392-1910), word got out in towns in gyeonggi that the king's 

procession would soon be passing through.

 

guards and soldiers were to lead the procession, followed by 

officials of the court and musicians, the royal seal of king jeongjo

(1752-1800) and the palanquin carrying lady hyegyeong, the king's 

mother. It was hard for onlookers to tell where the king was seated-

he was said to be one of the horseback riders. Flags depicting a dragon,

signifying the king's presence, were held high in the air by procession 

officials.

 

the procession, involving some 6,000 people who were making 

their way toward the tomb of the king's father in suwon, gyeonggi,

was one of the largest public events of the century.

 

and you can see it for yourself at the immersive digital galler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centural seoul once it reopens.

 

unfortynately, due to a spike in cases in seoul,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was set to reopen on june 15 announced on friday

that it would be shut until further notice.

 

"we will make an announcement on our website when we decide 

to reopen."

 

when the museum does get back to normal, visitors will be led into 

a dark room, the size of half of a soccer field, located on the first 

floor of the museum's permanent exhibition hall.

the door closes and the procession begins, stretching out in a 

panoramic view on all three walls before the visitors.

 

"you can experience through the vr programs how cultural heritage 

properties are managed and preserved at the museum."

 

the project has been applied to the gyeongcheonsa pagoda, national

treasure no.86, which stands on the first floor of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

 

Visitors can use their cell phones to scan codes available at the 

pagoda to view details up close on their phone screens.

 

 

the museum extends operating hours to 9pm on Wednesdays and 

saturdays, and on these days visitors can see media facade on the 

pagoda after the sun sets.

 

*summar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ill be closed until further notice

as there is a rise of corona cases in seoul. 

There will be a digital type of exhibition such as the procession of 

king jeongjo toward suwon for his father's tomb.

단어 확인

Procession 행렬, 행진

the royal seal 어보:왕, 왕비, 왕세자 등이 사용한 왕실의 의례용

도장을 통틀어 칭한다

palanquin 1인승 가마

lady hyegyeong 혜경궁 홍 씨

onlookers 구경꾼

immersive 몰입, 본능

spike 급증

until further notice 추후 통지가 있을 때까지, 당분간

permanent exhibition hall 상설전시관

panoramic view 전경

vr program virtual reality program 가상현실 프로그램

cultural heritage properties 문화재

are managed and preserved 관리되고 보존된다

media facade 미디어 파사드 쇼 

:건물의 외벽 등에 led 조명을 설치해 미디어 기능을 구현,

새로운 트렌드로 2004년 압구정 갤러리아 백화점 명품관에 도입

된 것이 효시로 꼽힌다.

 

기사의 제목은 디지털 형태로 조선왕실 행차의 일원이 되어보세요 

라는 내용이다.

 

조선왕조 시대 동안 1795년도에 경기도에 마을에서 왕의 행차가 

곧 지나갈 것이라는 말이 퍼져나갔다.

 

호위병과 군인들이 행차를 이끌었고,  왕실의 관료들, 음악인들,

정조대왕의 어보와 왕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 씨를 태운 가마가 

이어졌다. 구경꾼들은 어디에 왕이 앉았는지 말하기 어려웠다.

그는 말을 탄 기수 중의 한 명이라고 했다. 왕의 참석을 상징하는

용을 묘사한 깃발들이 행차 관료들에 의해서 하늘 높이 들어졌다.

 

경기도 수원에 정조대왕의 아버지(사도세자)의 묘를 향해서 행차를 

했던 6,000명 정도의 사람들이 참여한 이 행진은 세기의 가장 컸던

공식행사 중 하나였다.

 

일단 국립중앙 박물관이 다시 개장을 하면, 몰입형 디지털 갤러리에서 

관람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서울에서 코로나 확진의 경우가 급증했기 때문에,

6월 15일에 재개장하기로 예정이던 국립중앙 박물관은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문을 닫을 예정이라고 금요일에 발표했다.

 

"우리는 언제 재개장을 결정할지에 대한 공지를 웹사이트에 할 예정이다."

 

박물관이 다시 정상으로 돌아가면, 방문객들은 1층 상설전시관에 위치한

축구경기장 반 정도의 크기의 어두운 방 안으로 이끌어질 것이다.

문이 닫히고 방문객들 앞에 3개의 벽에 전경이 펼쳐지면서 행차가 시작된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문화재가 관리되고 보존되는지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통해서 경험할 수 있다."

 

그 프로젝트는 1층 상설전시관에 전시된 국보 86번 경천사지 석탑에 

적용되었다.

 

이용자들은 핸드폰을 이용해서 석탑에 있는 코드를 스캔해서 자세한 

사항을 화면에서 볼 수 있다.

 

박물관은 운영시간을 수요일과 토요일에 9시까지 연장하고 이날은 

해가진후 경천사지 석탑에 미디어 파샤드 쇼를 볼 수 있다.

 

*본문 요약

현재 서울지역 코로나 환자 급증으로 당분간 문을 닫는다.

일단 재개장하면 , 수원화성 정조대왕 행렬을 3개의 벽에 펼쳐진 디지털 

형태로 볼 수 있고, 해가진후 국보 86번인 경천사지 석탑의 미디어 

파샤드 쇼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