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Adele’s pick, the korea times : 3 in 10 koreans think having Kids unnecessary: survey

Adele’s pick, the korea times : 3 in 10 koreans think having Kids unnecessary: survey

2020. 6. 19. 17:55성취(accomplishment)/영자신문 읽기(English newspapers review)

3 in 10 koreans think having Kids unnecessary: survey

from the korea times, june 18 2020 by yonhap

 

more than three out of every 10 south koreans believe 

it is unnecessary to have kids even after marrage, while 

parents spend nearly us$300 a month on private education

for each student in grades 12 or blow, a report from the 

stastics office showed thursday.

 

according to the report, based on a series of surveys and 

studies, 69.6 percent of those polled said having kids may be 

necessary after getting married.

 

the remaining 30.4 percent thought otherwise.

 

south korea already has one of the world's lowest birth rates.

 

statistics korea has forcast the country's population to peak

at around 52 million in 2028 before beginning to decline.

it estimates the country's population to drop to as low as 

39.3 million in 2067. It stood at around 51.7 million at end-2019.

 

possibly reflecting a move toward a population reduction, the 

report also showed the average age of women giving birth for 

the first time here came to 31.9 years in 2018, up 0.3 year from

a year earlier.

 

by gender, 33.4 percent of females surveyed said they do not 

think having a child is necessary, compared with 27.4 percent 

of males who said the same.

 

the report showed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 person has

the more likely he or she will be against the idea of having a child.

 

in the survey, 36.2 percent of people with college education or higher 

said they did not think having a child was necessary, while 29.3 percent 

of those with high school education said the same and 18.9 percent of 

those with only 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e report showed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which is partly 

blamed for the country's low birth rate, continued to put increased 

burdens on local parents.

 

in 2019, 74.8 percent of all students enrolled in high school and below 

were getting private education outside of school, up 2.0 percentage point 

from a year earlier, while parents spent an average 321,000 won ($266)

on private education for each student, up 30,000 won over the cited 

period.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south koreans remained unchanged from 

a year before at 82.7 years in 2018.

 

the smoking rate of people aged 19 years or older also remained unchanged 

over the cited period at 21.1 percent, but the smoking rate of males dropped 

slightly to 35.8 percent while that of females inched up to 6.5 percent.

 

the drinking rate of adults came to 57.8 percent in 2018, down 1.4 percentage 

points from the previous year.

 

*summary

korea's poulation will be peaked in 2028 and after that it 

will be declined. According to the survery, many couple after 

Getting married , they think it is not necessary to have kids.

they feel burden about raising  kids. If they are educated more 

than college , it is more likely not to have kids.

 

단어 확인

Survey 조사하다, 연구하다 

unnecessary 불필요한

Grades 12 고등학생

private education 사교육

the statistics office 통계청

those polled 투표에 참여한 사람들 

otherwise 다른, 다르게

has forecast 예상, 전망하다

peak 최고인, 최대인

estimates 예상했다

decline 감소하다, 하락하다    Drop 떨어지다, 하락하다

inched up 조금, 소폭 상승했다

enrolled in 등록했다

over the cited period 같은 기간 동안

the average life expentancy 평균 예상 수명

Remained unchanged 변화가 없다

 

기사의 제목은 조사에 의하면 한국인 10명 중 3명은 아기를 갖는것을 

불필요하게 생각한다는 내용이다.

 

각 10명중 3명 이상의 한국인들은 결혼 후 조차도 아기를 가지는 것을 

불필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부모들은 각각의 고등학생이나 그 보다 어린 학생 

들을 위해서 한 달에 거의 300달러 (363,330원) 정도를 사교육에 소비하고 

있다고 목요일 통계청의 한 보고서가 보여준다.

 

그 보고서에 따르면, 일련의 조사와 연구를 기초로 하여, 조사에 참여한 69.6 

퍼센트가 결혼 후 아기를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머지 30.4 퍼센트는 다르게 생각했다.

 

한국은 이미 세계 중 가장 낮은 출산율을 가진 나라 중 하나이다.

 

한국 통계청은 감소하기 시작하기 2028년 전에 대략 5천2백만의 

인구 정점을 예상했다. 우리나라의 인구는 2067년도에 3천9백3십만까지 

낮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2019년 말에 대략 5천1백7십만에 인구가 

위치해 있었다.

 

인구 감소를 향한 움직임을 보여주며, 보고서는 2018년도에 첫 아이를

출산하는 여성들의 평균 나이를 전년도보다 0.3세 올라간 31.9세로 나왔다.

 

성별로는 조사에 참여한 33.4퍼센트의 여성들이 아기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고 상대적으로 27.4퍼센트의 남성들이 같은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조사 참여자가 고학력의 남성 여성일수록 아기를 가지는 것에 

대해서 반대 생각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사에서, 36.2 퍼센트의 대졸이나 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아기를 가지는 것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반면에 고졸의 

학력을 가진 29.3 퍼센트가 같은 생각이라고 말하고, 초등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의 18.9퍼센트가 같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국내 부모들에게 증가되는 부담으로 계속되며 부분적으로 우리나라

저출산의 비난을 받는 사교육의 비용을 보여주었다.

 

2019년도에, 전년도보다 2 퍼센트 증가되며 고등학교와 초 , 중학교에

입학한 모든 학생들의 74.8 퍼센트가 학교 밖의 사교육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에 부모들은 각 학생당 사교육에 같은 기간 동안 평균

321,000원을 소비하고 있다. 

 

한국인의 평균 예상 수명은 전년도인 2018년 의 82.7세로 

부터 변하지 않았다.

 

19세 또는 그 이상의 흡연율 또한 21.1 퍼센트로 같은 기간 동안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남성의 흡연율이 35.8퍼센트로 약간 

감소한 반면에 여성의 흡연율은 6.5 퍼센트 증가했다.

 

성인의 음주 비율은 2018년에 57.8퍼센트로 전년도에 비해서 

1.4퍼센트 감소했다. 

 

*본문 요약

한국인 10중 3명은 결혼 후에도 아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그중 고학력일수록 그 비율은 더 높아졌다.

사교육에 대한 부담이 커지는 것도 사실이다. 아이 한 명당 

300,000원 정도의 학원비가 들어간다는 결과가 나왔다.

2028년에 한국의 인구는 대략 5천2백만으로 정점을 찍은 후

그 후로 감소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