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Adele’s pick, the korea herald : war remains recovery project in dmz resumes after brief suspension

Adele’s pick, the korea herald : war remains recovery project in dmz resumes after brief suspension

2020. 6. 18. 11:49성취(accomplishment)/영자신문 읽기(English newspapers review)

war remains recovery project in dmz resumes after brief suspension

from the korea herald, june 18 2020 by yonhap

 

the military on thursday resumed a war remains excavation 

project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separating the two koreas

after a brief suspension following the north's threat to take military

action against the south.

 

the excavation project on arrowhead ridge was halted the previous

day, one day after north korea blew up an inter-korean liason office 

in the wetern boreder town of kaesong on tuesday.

 

the military appears to have concluded that the work can resume 

despite the heightened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under a bilateral military accord signed on sep.19, 2018 and north 

korea agreed to launch a joint excavation project on the ridge, but 

the south has carried out the project alone as the north did not 

respond to calls for joint work.

 

located in cheorwon, around 90 kilometers northeast of seoul,

the ridge was one of the fiercest battlefields during the 1950-53

korean war.

 

the north is threatening to scrap the military deal altogether, 

unveiling its plan to redeploy troops to an inter-korean industrial 

park in kaesong and the mount kumgang joint tourist zone on the 

east coast.

 

the north also said it will restore guard posts removed from the 

dmz and resume all kinds of regular military exercise near the inter-

korean border in violation of the military agreement with the south.

 

*summary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excavate together in arrowhead ridge

area which was one of the fiercest battlefield during korean war.

But recently north korea blew up liaison office and no any response to 

south korea. Only south korea military restarted that project.

단어 확인

war remains excavation (= recovery) project

전쟁 유골 발굴 작업; 두 단어가 같은 표현으로 본문에서 쓰임

brief suspension 잠시 중단

resumed 재개되었다

arrowhead ridge 화살머리 고지

was halted 중단되었다

blew up 폭파시켰다

an inter-korean liaison office 남북 간 연락 사무소

heightened tensions 고조된 긴장

a bilateral military accord 남북 군사 합의서

signed on ~날짜에 서명했다

fiercest battlefields 가장 치열했던 전투현장

scrap 철회했다, 폐지했다

redeploy 이동시켰다, 이전시켰다

guard posts 경비 초소

 

기사의 제목은 비무장지대의 전쟁 유골 복구 작업이 잠시 중단 후에 

재개되었다는 내용이다.

 

목요일에 군은 한국에 대해 군사 행동을 취할 것이라는 북한의

위협이 있은 후 잠시 중단 후에  두 나라를 분리시키는 비무장지대에서

전쟁 유골 발굴 작업을 재개했다.

 

화살머리 고지 에서의 발굴작업은 북한이 화요일 개성의 서쪽 국경

지역에 있는 남북한 연락 사무소를 폭파시킨 하루 후에 중단되어었다.

 

군은 한반도에 긴장이 고조됨에도 불구하고 그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라고 결론지은 것으로 보인다.

 

2018년 9월 19일 서명된 남북한 군사 합의서 하에 , 남과 북은 화산 

머리 고지에 공동 발굴 작업을 실시하기로 동의했지만, 북한이 공동 작업에 

대한 연락에 응답하지 않았기에 단독으로 남한 쪽만 그 작업을 실시했다.

 

서울의 북동쪽이며 대략 90 킬로미터 떨어진 철원에 위치한, 그 화살 고지는 

1950-53년인 한국전쟁 동안 가장 치열했던 전투현장 중의 하나였다.

 

북한은 개성에 있는 남북한 공업단지와 동해안에 있는 금강산 공동

관광지역에 군사를 재배치시킬 계획을 드러내면서 군사 합의서도  함께

철폐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북한은 또한 비무장지대에서 없앴던 경비 초소를 원상 복구시키고,

남한과의 군사 협의서에 위반하는 국경지역 근처에서 모든 종류의

정기적인 군사훈련을 재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본문 요약

남북한은 2018년 군사 협의서에서 철원에 위치한 화살머리 고지의 

전쟁 유해 발굴 작업을 공동 실시할 것을 서명했다. 그러나 최근 북한이 

남북한 연락 사무소를 폭파시킨 후 어떠한 대응이 없어, 우리 군 쪽에서만 

발굴 작업을 실시했다. 이 화살머리 고지 지역은 가장 치열했던 한국전쟁의 

모습을 보여주는 곳 중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