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holiday in north korea] dining at pyongyang’s best pizzeria (the korea times, national)

[holiday in north korea] dining at pyongyang’s best pizzeria (the korea times, national)

2020. 7. 9. 22:59성취(accomplishment)/영자신문 읽기(English newspapers review)

dining at pyongyang’s best pizzeria 

from the korea times, july 7 2020 by jon dunbar

 

 

south korean pizza has come a long way over the last decde, but 

still the best pizza i've ever had in korea was in pyongyang in 2010.

 

it was a few days into our one-week visit, and we were scheduled to 

go to a famous restaurant to try raengmyeon, or cold noodles in the 

local dialect. But one of the guys in our group, michael spavor, had 

requested we go to a local pizzaria instead. He knew his way around 

pyongyang better than anyone, and i trusted that this would be a

memorable experience.

 

i recall the ride from the yanggakdo hotel, located on an island in the 

taedong river in central pyongyang, took quite a while. It involved a

trip down kwangbok street, a scenic sunset voyage past some of

pyongyang's most "brutalist" architecture, including the pyongyang 

circus theater. We saw massive concrete apartment complexes of 

majestic configurations, interspersed with colorful mounments to the 

kim dynasty and connected by a system of trams, plus wide lanes for 

pedestrians and cyclists. The streets were lined with two-level buildings 

crammed with shops; one of theses was the pizzaria. It was on the south 

side of the street, as i can remember seeing the big dipper when we left 

after dark, when all the apartments' windows were lit up with glowing 

lights of various colors.

 

we entered a drab, plainly decorated room, resembling the kind of pizzaria 

in other countries that specialized in delivery orders. There were a few other 

small groups, but looking at my pictures they seemed more focused on 

drinking.

 

the menu was one large multicolored sheet, offering 11 pizzas plus a 

calzone, with prices ranging between around 400 won and 1,100, presumably 

based on sizes- according to koryo tours this was around $3 to $7. Some 

offered surprising ingredients, such as zuccini, hard-boiled egg and, yes, 

pineapple. I played it safe and ordered a pizza on salame. Notably, "pizza"

was spelled differently in chosongul form the south's hangeul letters;

bbi-jja rather than pi-ja.

 

but pizza only took up the first of five columns on the menu. The second 

column offered other italian delicacies, including five spaghetti dishes and 

two "prusctto" dishes and one spanish option, paella.

 

column 3 started to look more korean: sashimi dishes featuring tuna, salmon,

beef and cow liver, but also coffee and "premium eskimo", a north korean 

word for ice cream. The column also has another section for five bulgogi 

dishes, including ostrich bulgogi.

 

column 4 offered warm meals, mostly various types of "jjim"-which we 

know as dishes that are steamed or boiled and served as a stew. But their 

version of jjim was radically different, going by the menu pictures. Galbijji,

known in the south as a rib stew originating from daegu, here more closely 

resembled some type of mandu.

 

and column 5 contained more recognizable korean cuisine, including the 

renowned pyongyang raengmyeon, stone pot bibimbap, yukgaejang, kimhi-

fried rice and curry rice.

 

let's be honest: it's not a good sign when the italian restaurant's menu is 2/5

italian and 3/5 korean. Who would come to such a unique restaurant and 

them order plain old korean food?

 

but the pizza came, and it was unbelievably good. Reportedly the ingredients 

were imported directly from italy, and the dough was made on location.

 

my individual pizza was maybe eight inches across, sliced into quarters, each 

with a big piece of salami. The cheese, sauce and dough came together in 

sublime combination. I haven't found a pizza that tasted that aggressively

good since then, although i've enjoyed the hunt.

 

it was then that i noticed our korean guides were at a nearby table, slurping 

down raengmyeon. They always ate separately from us, probably just to 

relax, and i liked to give them their space. But i reached out and asked if 

they wanted to try a slice of this amazing pizza i had.

 

"no thanks, too cheesy, " one said, and went back to slurping his cold noodles.

 

apparently kim jong-il, who was still the north's leader at the time, had 

pushed for offering more foreign foods in the isolated capital. The guardian 

in 2009 reported that kim had invited  a team of italian pizza chefs in the late 

1990s to instruct army officers and in 2008 he sent north korean chefs to rome 

and naples to learn more. Their hard work paid off, and he authorized the 

restaurant in 2009, which i believe was the one i visited the following year, 

one of two active at the time.

 

the food was presented as authentically as possible, with absolutely no 

attempt to localize it. No pickles, no compromises on the ingredients or 

quality to cater to local tastes or lower the price. It was great to taste this 

authentic pizza, preserved like in a time capsule in pyongyang, but i wish 

i could have experienced our guides trying it also.

 

reportedly the same place is still open, but all the attention seems to be 

directed at a newer pizzeria opened in 2015 on mirae scientists street, 

basically the pyongyang version of seoul's digital media city. That pizzeria 

uses lower-quality ingredients, according to koryo tours, and offers a novelty 

options such as fruit pizza, fish pizza and tuna pizza.

 

it is difficut to decide:should north korea offer authentic pizza and give their 

people a taste of the outside world? Or develp pizza that's customized for the 

north korean palate and budget, so it can be more easily enjoyed by more 

pyongyang citizens?

 

if i ever return to north korea, it would be interesting to visit the same pizzeria 

again. But now there is so much more foreign and fast food there, and i would 

have to prioritize trying their version of hamburgers. And there is always the 

signature pyongyang raengmyeon which should not be missed -but more on 

that another time.

 

*summary

pyongyang's pizza taste was wonderful when he visited north korea. It was 

unexpected awsome taste. He also want to try hamburger in next visit if there is 

any chance.

 

단어 확인

Pizzeria 피자가게

has come a long way  크게 발전했다

in the local dialect 지역방언으로

voyage 항해, 여행

brutalist architecture 브루탈리즘 건축 (거대한 철제와 콘크리트를 사용,

1950~60년대 건축양식)

pyongyang circus theater 평양 서커스 극장

massive 거대한

Majestic configurations 장엄한 외형

interspersed with 흩어진

crammed with ~로 가득 찬

big dipper 북두칠성

glowing lights 반짝이는 불빛

drab 단조로운

calzone 치즈와 햄을 넣어 반원형으로 접어 만든 파이

played it safe 조심하다, 신중을 기하다

column 세로행

delicacies 진미, 별미

sublime 멋진

slurping down 국을 들이마시며

authentic 진정한, 믿을만한

palate 입맛, 식성

 

오늘 고른 기사의 제목은 평양 최고의 피자집에서 식사하기이다.

 

한국의 피자는 지난 10년에 걸쳐 크게 발전했지만, 내가 한국에서 먹어본

최고의 피자는 여전히 2010년에 평양에서 먹어본 피자다. 🍕

 

우리의 1주일간의 방문에서 며칠간 우리는 지역 방언으로 불리는 냉면을

먹어보기 위해 유명한 음식점을 가기로 계획했다. 그러나 우리 그룹 중의

일원이었던 마이클 스파보가 대신 에지 역 피자가게에 가자고 부탁했다.

그는 누구보다도 평양 주변을 더 잘 아는 사람 이어서 , 나는 그 방문이

기억에 남을 경험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나는 평양 중심의 대동강에 있는 한 섬에 위치한 양각도 호텔에서 차를 타고

꽤 시간이 걸렸던 것이 생각난다.  그 승차는 평양 서커스 극장을 포함하여,

몇몇 평양의 가장 브루탈리즘적인 건축을 지나 경치 좋은 일몰 항해의 광복거리를

포함했다. 우리는 보행자들과 자전거 타는 사람들을 위한 넓은 통로와 , 연결된 전차

시스템, 흩어져 있는 김정일 일가의 화려한 기념물들, 장엄한 외형의 거대한 콘크리트

아파트 건물을 보았다. 거리는 가게들로 가득 찬 2층짜리 건물들이 줄지어 있었다;

그중 한 곳이 그 피자가게였다. 모든 아파트의 창문들이 다양한 색들의 반짝이는

불빛들로 환하게 밝혀지고,  우리가 어두워진 후 떠났을 때 북두칠성을 본 것을 기억하기

때문에, 그 피자가게는 그 거리의 남쪽에 위치했다. 💫⭐️

 

우리는 다른 나라에서 어떤 배달 주문을 전문으로 하는 피자가게를 닮은 단조롭고,

소박하게 장식된 방으로 들어갔다. 적은 소수의 다른 그룹들이 있었지만, 내 사진을

보면 그들은 술을 마시는데 더 집중한 것 같아 보였다.🍺🍻

 

메뉴는 파이와 11가지 피자를 제공하고, 아마도 크기에 의해서 가격대는 약 400원에서

1,100원사이로 다채로운 색깔의 큰 한 장의 종이에 있었다. 고려 여행사에 의하면 이것은

대략 3달러에서 7달러라고 했다. 어떤 메뉴는 애호박, 완숙 계란 그리고 바로, 파인애플과

같은 놀라운 재료들이 제공되었다. 나는 신중을 기하기로 했고 살라메 피자를 주문했다.

명백히, "피자"는 한국 한글의 초성글에서 다르게 쓰였다. 피자 대신에 삐자라고.😮

 

그러나 피자는 메뉴의 5개 세로줄에서 첫 번째 줄만을 차지했다. 두 번째 줄은 5개의

스파게티요리와 2개의 프루스 토의 이탈리아 별미와 파엘라라는 스페인 요리를 제공했다. 🍝

 

3번째 줄은 더 한국음식으로 시작했다: 참치, 연어, 소고기 회 요리와 소간, 그러나 또한

커피와 북한의 아이스크림이라는 뜻인 프리미엄 에스키모도 있었다. 이 줄은 또한 타조

불고기를 포함한 또 다른 5개의 불고기 요리가 있었다. ☕️

 

4번째 줄은 대부분이 다양한 찜 형태인, 우리가 찌거나 끓이거나 해서 전골로 제공되는

걸로 알고 있는 따뜻한 음식을 제공했다. 그러나 메뉴 사진을 보면 , 찜의 형태가 근본적으로

달랐다. 대구에서 기원한 것으로 한국에서 알려진 갈비찜이, 여기서는 거의 만두 형태를

닮았다.🥟

 

5번째 줄은 잘 알려진 평양냉면, 돌솥비빔밥, 육개장, 김치볶음밥 그리고 카레라이스를 

포함한 더욱 잘 알려진 한국음식을 포함했다.🍚

 

솔직해져 보자: 이탈리아 식당의 메뉴 오분의 2가 이탈리아 음식이고 오분의 3이 한국음식 

일 때 이것은 좋은 징조가 아니다. 누가 그러한 독특한 식당에 올 것이며 평범하고 오래된 

한국음식을 주문하겠는가?🤔

 

그러나 피자가 나왔고 그 맛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좋았다. 보도에 따르면 재료들이 직접 

이탈리아에서 수입되고 반죽을 직접 만든다고 한다.🍅

 

나의 개인 피자는 아마도 8인치 정도였고  각각  큰 조각의 살라미와 함께 요리되어

4등분으로 한 조각씩 잘라져 있었다. 치즈, 소스, 반죽이 함께 최고의 조합이었다. 비록

내가 맛집을 찾아다니는 것을 즐겼지만, 그 이후로 그렇게 맛있는 피자는 발견할 수 없었다.🍕

 

그때 내가 근처 테이블에 냉면을 들이켜고 있는 한국인 가이드가 있던 것을 알아차렸다.

아마도 그냥 쉬고 싶어서인지, 그들은 항상 우리와 따로 식사했고 그들에게 그들만의 공간을 

주고 싶었다. 그러나 나는 다가가서 그들이 내가 먹어본 이 맛이 환상적인 피자 한 조각을 

그들이 먹어보기를 물어보았다.🥢

 

"아니요 괜찮습니다, 너무 치즈맛이 나요, " 한 명이 말했다, 그리고 돌아가서 냉면을 들이켜기 

시작했다.

 

분명히 그 당시 북한의 리더였던 김 정일은 그 고립된 수도에 더 많은 외국 음식을

제공하려고 추진했다. 2009년 가디언에 따르면 김 정일은 1990년대 후반에 군 육군

장교를 교육시키기 위해서 한 팀의 이탈리아 피자 요리사들을 초대했고 2008년에 그는

북한 요리사들을 더욱 배우게 하기 위해서 로마와 나폴리로 보냈다. 그들의 고된 작업이

성과를 냈고 그는 2009년에 그 레스토랑을 허가했다, 내가 생각하기에 그다음 해에

방문했던 레스토랑이 그곳이고 그 당시 영업했던 두 곳 중의 하나다.🛎

 

음식은 절대 지방색을 부여하지 않고 , 가능한 본래의 맛처럼 제공되었다. 가격을 낮추거나

지역 입맛에 수용하기 위해 질이나 재료들에 대해 절충하는 것이 없었으며, 피클은 없었다.

평양에 있는 타임캡슐에 보존된 것 같은 본연의 맛의 피자를 맛보는 것은 근사했지만, 나는

우리의 가이드도 그것을 맛보았으면 하고 바라었다. 🧆

 

보도에 따르면 그 피자집은 여전히 영업 중이라고 한다, 그러나 모든 관심이 기본적으로

서울의 디지털 미디어 도시의 평양 버전인, 미래 과학자 거리에 2015년에 개장한 더 새로운

피자집으로 관심이 쏠려 보인다고 한다. 이 피자집은 고려 여행사에 따르면 질이 좋지 않은

재료들을 사용한고 과일 피자, 생선 피자 그리고 참치 피자와 같은 신기한 선택을 제공한다. 🐟

 

 

결정하기는 어렵다. 북한이 본연의 맛의 피자를 제공하고 북한 주민들에게 외부세계의

맛을 제공 해야 하는지를? 아니면 북한 사람들의 식성과 예산에 맞춤화된 피자를 개발해야

할지, 그래서 쉽게 평양 주민들이 더 즐길 수 있지 않을까?

 

만약 내가 북한으로 혹시 다시 방문한다면, 같은 피자집을 다시 방문하는 것이 흥미로울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더욱더 많은 외국 패스트 음식점이 있어서 나는 그들의 햄버거 버전을

먹어보는 것을 우선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항상 놓쳐서는 안 되는 특징적인 평양냉면집이

있지만 더욱이 또 다음 에 시도할 것이다.

 

 

*본문 요약

필자가 2010년에 평양에서 기대 없이 먹어보았던 피자의 맛은 정말 최고의 맛이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만 외국음식들을 먹어볼 수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북한 평양 피자 맛에

놀라고 , 다음에 가게 된다면 이제는 더 많은 외국의 패스트푸드가 자리를 잡아서 북한의

햄버거 맛을 느껴보고 싶다고 말했다. 평양의 가이드들은 너무 느끼한 치즈맛을 좋아하지

않아 맛보기를 거부했지만. 현지인들의 입맛에 맞고 주머니 사정에 맞는 피자를 개발해야

할지 아니면 외부세계의 본래 맛을 선보이는 게 나을지 쉽지 않은 선택이다.

 

나도 이 글을 읽으며 북한에 이렇게 진짜 정통 이탈리아 피자집이 있다는 사실에 놀라고, 

생소한 메뉴들을 보며 정말 맛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읽는 내내 흥미로웠던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