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Beating ‘corona blues’ (the korea times, opinion)

Beating ‘corona blues’ (the korea times, opinion)

2020. 7. 10. 00:04성취(accomplishment)/영자신문 읽기(English newspapers review)

Beating ‘corona blues’

from the korea times, july 9 2020 by park moo-jong

 

The term "blues" can be understood basically as a music genre that originated in the united states around the 1870s among african-americans, mostly slaves and their descendants, who sang as they toiled in the cotton and vegetable fields.

 

 

the word also means, according to the english dictionary, melancholy and sadness with nothing to do with the color, blue.

 

 

interestingly, however, the word is widely understood in korea as a "slow dance", often condemned as a decadent dance at cabarets or nightclubs, pronounced "brus(부르스)."

 

 

At some point, koreans began to be interested in the new term," woryonpyeong" or "monday disease, " if translated literally, meaning monday blues, which many non-engligh speaking people, including me, earlier misunderstood as a sort of monday dance. many of them used to ask jokingly," do we dance the blues on monday?"

 

 

monday blues, as we understand now, refers to laziness, no zeal and no enthusiasm for people to get to work monday morning after they just enjoyed their "work-free" weekends. after a wonderful weekend comes the dreadful monday, wherein people are back to business.

 

 

finally, here comes a new syndrome,"corona blues."

 

 

half a year has already passed since we were forced to wear face masks like bank robbers in western movies or illegal demonstrators, not to hide our faces, but to help protect ourselvesand to help prevent the further spread of the coronavirus that causes covid-19.

 

 

yet, the uninvited virus, having originated in wuhan, china, late last year, shows no sign of abating, having forced people to live in a "new world" they have thus far never experienced.

 

 

over the past six months, almost all social gatherings and events hav been canceled, and especially socializing in person is off the agnda. We self-isolate and keep a 2-meter distance from the each other, faithfully abiding by government guidelines.

 

 

as the korea times reported earlier, "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amid the global spread of covid-19, koreans even have the neologism "corona blues, " which refers to depression caused by the coronavirus."

 

 

like the monday blues, the corona blues contains elements of depression, tiredness, hopelessness and a sense that work is unpleasant but unavoidable. It is also prevalent that it has become a cultural phenomenon.

 

 

the difficult battle against covid-19 is heading toward a prolonged war, requiring mental and physical steps to help beat the corona blues effectively.

 

 

the pandemic is certain to take a financial, phisical and emotional toll in all people in ways big and small. Many experts make many suggestions on how to beat the new blues.

 

 

for instance, it is important to alleviate fears of becoming a patient by taking a stroll in a park or performing an individual outdoor exercise, according to a medical doctor in seoul. Many people complain of long periods of being stuck indoors with their kids, worrying that their whole family may be frustrated and fed up. Going for a family walk can be a good cure,

he says.

 

personally, i'd like to recommend handwriting instead of keyboard typing to be in contact with my friends.

 

many of us have already forgotten when we last took time to write mail that was not electric and what our handwriting looks like. I bet nobody can deny the delight of an unexpected letter from a friend, not a text message. penning a letter to a friend may make his or her day and help fill yours with satisfaction from handwriting instead of constant keyboard typing.

 

olnline concerts will also help us fight the corona blues. Many musicians are giving concerts in their homes and sharing the live streams online for all to enjoy. Furthermore, they are free.

 

the outbreak of the coronavirus reminds us that we're all part of the same global community and we have to cooperate to solve global probrems. It is essential to follow government guidelines to ensure that we can stay safe during the pandemic.

 

summer is here and all around us. Nature is in full swing. It depends on us how to beat the blues in this bright season.

let's get physical. Let's go out for a walk, wearing a mask.

Stay well, our readers.

*summary

globally, regardless of nationality, we are all experiencing same coronavirus outbreak. 
It has been alreay more than 6months. And many people feel depressed and sad in the result of isolating 
Themselves from socializing with people. Anyway , we should overcome this crisis and also take care of 
Ourselves,,family, friends. Why don't you send a handwriting letter not by typing.? We will make thier day different 
and fill ourselves with satisfaction. And go run outside or stretch your body in the morning and night. 

 

단어확인

Beating 물리치며

term 용어

African-americans 미국 흑인

toiled in 노동하다

melancholy 우울한, 감상적인

decadent dance 퇴폐적인 춤

zeal 열정, 열심

dreadful 가혹한, 불쾌한

no sign of abating 누그러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off the agnda 의제에서 벗어나

faithfully 성실하게, 충실히

abiding by 따르다, 준수하다

neologism 신조어

prevalent 널리 퍼진, 만연한

Take a toll on 타격을 입히다, 피해를 주다

alleviate 완화하다, 덜다

electronic 전자기기

 

오늘 고른 기사는 의견란에서 "코로나 블루스"를 물리치기라는 내용이다.

 

"블루스"라는 용어는 기본적으로 1870년대 경에 대부분이 노예나 그들의 후손인 미국 흑인들 사이에서

그들이 면화나 채소밭에서 노동할 때 불러 기원한 음악 장르로써 이해될 수 있다.

 

그 단어는 또한 영어사전에 따르면, 파란색이라는 색깔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슬픔과 우울함을 의미했다.

 

흥미롭게도, 그러나, 한국에서는 그 단어는 널리 종종 부르스라고 발음되는 퇴폐적인 춤으로서 카바레나

나이트 클럽등에서 "느린 춤"으로써 이해가 된다.

 

어느 순간에는, 나를 포함한 많은 비 영어권 사람들이 일찍이 일명 월요일의 댄스로 잘못 오해한 , 한국인들은

새로운 "월요병" 또는 "월요일의 병"이라는 만약 문자 그대로 번역한다면, 월요일의 브루스라는 의미의 용어에

흥미를 갖기 시작했다. 그들 중 많은 이들이 농담으로, "우리 월요일에 춤추나요?라고 물어보곤 했다.

 

월요병은 , 우리가 이제 이해하듯이, 일이 없는 주말을 즐겁게 보낸 후에, 월요일 아침에 출근하는 사람들에게

열정과 열망이 없는 게으름을 나타낸다. 멋진 주말 이후에 사람들이 일터로 돌아가는 가혹한 월요일이 온다.

 

마침내, 여기 새로운 신드롬인, "코로나 브루스"가 나왔다.

 

Covid-19을 일으키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더욱 확산 방지를 돕기 위해 그리고 우리의 얼굴을 숨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 자신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서 그리고 우리가 어쩔 수없이 법으로 금지된 시위자들이나

서구 영화의은행강도처럼 얼굴 마스크를 쓴 지 반년이 벌써 지났다.

 

그러나, 사람들이 지금까지 전혀 겪어보지 않은 새로운 세계에 사람들을 살게 만든, 작년 말 중국 우한에서

기원한 그 반갑지 않은 바이러스는 누그러지를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지난 6개월에 걸쳐, 거의 모든 사회적 모임과 이벤트가 취소되었고 특히 사람과 어울리는 것은 의제에 없는 

사항이다. 우리는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충실히 준수하며, 스스로를 격리시키고 서로 2 미터 간격을 유지한다.

 

일찍이 코리아 타임스가 보도했듯이, "세계적인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의 상황에서 증가하는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로와  우울감으로부터  고통을 받고 있다. 한국인들은 심지어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서 원인이 된 

우울감을 나타내는 "코로나 브루스"라는 신조어조차 가지고 있다.

 

월요일 병처럼, 코로나 브루스는 우울감, 피로감, 절망감과 일이 즐겁지 않지만 피할 수 없다는 의식을 포함한다.

그것이 문화적 현상이 되었다는 것이 너무 만연해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항한 힘든 전투가 장기전으로 향하며, 코로나 브루스를 효과적으로 이기는 것을 돕는

정신적 그리고 육체적 단계를 요구한다.

 

그 유행병은 크고 작은 방식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분명히 경제적, 신체적, 그리고 감정적으로 피해를 준다.

많은 전문가들은 새로운 브루스를 어떻게 이길지에 대해 많은 제안을 만들었다.

 

서울에 있는 한 의료진에 따르면, 예를 들어, 공원에서 산책을 하거나 개인의 야외 운동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환자가 될 것이라는 공포를 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전체 가족이 아마도 절망하고 지칠것을

걱정하면서, 오랜 기간 그들의 자녀들과 실내에 갇혀있는 것에 불평했다. 가족이 산책하는 것은 좋은 회복이

될 수 있다 라고 말했다.

 

개인적으로, 나는 나의 친구들과 연락을 하는데 키보드로 치는 것보다 손글씨를 추천하고 싶다.

 

우리들 중 많은 이들은 벌써 전자기기가 아닌 손으로 편지를 쓴 마지막이 언제인지, 우리의 손글씨가 

어떻게 생겼는지도 잊어버렸다. 나는 아무도 문자 메시지가 아닌 친구로 기대치 않게 받은 편지의 기쁨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라 장담한다. 친구에게 펜으로 편지를 쓰는 것은 그, 그녀의 기분 좋게 하고 , 당신의 마음을

계속적으로 키보드 타이핑 대신에 손글씨 쓰는 것으로부터 만족감으로 채우는데 돕는다.

 

온라인 콘서트는 또한 우리가 코로나 브루스에 싸우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많은 음악인들은 그들의 집에서

콘서트를 제공하고 있고 모두가 즐기게 하기 위해 생방송 스트림으로 공유한다. 더욱이 그 콘서트들이 무료다.

 

코로나바이러스의 발생은 우리가 모두 같은 세계의 커뮤니티의 일원임을 일깨워주고 우리는 국제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 우리가 유행 전염병 기간 동안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정부의 지침을 따르는 것은 필수다.

 

여름은 여기에 그리고 우리 모두 주변에 있다. 자연은 풀가동되고 있다. 이 밝은 계절에 우리에게 어떻게 그

브루스를 이길지에 대해 달려있다. 우리 모두 건강하자. 마스크를 쓰고 나가서 산책을 하자.

잘 지내세요, 우리의 독자님들

 

 

 
*본문요약

1870년경의 우리에게 익숙한 미국 흑인들이 노동을 하며 불렀던 음악인 블루스가 있고, 주말을
너무 즐겁게 보낸후 월요일날 직장을 끔찍히 가기 싫은 월요병이 있다. 그리고 신종어인 코로나
블루스가 생겼다. 장기화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실내에 갇혀 외부활동을 못하고 또한 외출을
하더라도 혹시라도 감염이 될까 하는 두려움에 사람들은 집에서 자가격리를 해야했고 그로인해
 특히 아이들이 있는 가정은 모든 가족 일원들이 지치고 좌절할까 걱정하는 상황이다.

우리는 한번도 겪어보지 않은 이 경험을 겪으며 , 언젠가는 끝나기를 바라는 이 바이러스가
사라질때까지 정신적, 육체적으로 잘 단련해야 한다. 정신이 튼튼해지려면 몸을 움직여야한다.
우리 모두 집 앞에 산책이라도 나가자 아니면 집에서 아침 저녁으로 스트레칭이라도 하면 스트레스가
조금이라도 이완되는것이 느껴진다.